2022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머릿말
릴리즈 노트는 개발 과정에서 정리된 정보를 소프트웨어의 최종 사용자인 고객과 공유하기 위한 문서이다.
릴리즈 노트는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를 기반으로 개발팀에서 직접 현재 시제로 작성해야 한다.
릴리즈 노트 작성 시 릴리즈 노트 이름, 소프트웨어 이름, 릴리즈 버전, 릴리즈 날짜, 릴리즈 노트 날짜, 릴리즈 노트 버젼 등이 포함된 항목
소프트웨어 패키징
모듈별로 생성한 실행 파일들을 묶어 배포용 설치 파일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모듈화는 모듈 간 결합도의 최소화와 모듈 내 요소들의 응집도를 최대화 하는 것이 목표
트랜잭션의 특징
원자성
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도록 완료(Commit)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도록 복구(Rollback)되어야 함 .
일관성
트랜잭션이 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한다.
독립성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병행 실행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트랜잭션 실행중에 다른 트랜잭션의 연산이 끼어 들 수 없다.
지속성
성공적으로 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시스템이 고장나더라도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 성능 측정 지표
처리량 : 일정 시간 내에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하는 일의 양을 의미
응답시간 : 애플리케이션에 요청을 전달한 시간부터 응답이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을 의미
경과시간 : 애플리케이션에 작업을 의뢰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의미
자원 활용률 : 애플리케이션이 의뢰한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의 CPU, 메모리, 네트워크 등의 자원 사용률을 의미
비정규화 개념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을 통합, 중복, 분리하는 과정으로, 의도적으로 정규화 원칙을 위배하는 행위
MD5 개념
MD4를 개선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각각의 512 비트짜리 입력 메시지 블록에 대해 차례로 동작한다.
각 512 비트 입력 메시지 블록을 처리하고 나면 128 비트 스테이트 값이 변한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3가지
구문 / 의미 / 시간
LAND(Local Area Network Denial Attack) 의미
공격자가 패킷의 출발지 주소 또는 포트를 임의로 변경하여 송신측 IP 주소 또는 포트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송신 IP주소가 자신이므로 자신에게 응답을 수행하게 한다. 이처럼 자신에 대해 무한히 응답하는 패킷을 계속 전송하여 컴퓨터의 실행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동작을 마비 시켜 서비스 거부 상태에 빠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공격 유형
살충제 패러독스
동일 테스트 케이스로 동일한 테스트를 반복하면 더 이상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 현상
OSI 참조 모델
7계층은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입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가지고있습니다.
프로토콜로는 HTTP(S), FTP, SMTP, SSH, TELNET 등이 있습니다.
6계층은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입니다.
전송하는 정보의 형식을 결정하는 계층입니다.
응용 계층의 데이터를 압축하고 복호화 및 암호화, 보안기능을 수행합니다.
프로토콜로는 JPG, MPEG, GIF, CSS 등을 사용합니다.
5계층은 세션 계층(Session Layer)입니다.
네트워크 연결을 시키고, 연결 지속과 해제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통신의 종류로는 동시 송수신 방식(Duplex), 반이중 방식(Half Duplex), 전이중 방식(Full Duplex)가 있습니다.
프로토콜로는 SSL/TLS, SQL 등이 있습니다.
-----------------하위계층--------------------------
4계층은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입니다.
보내는 쪽에서는 정보를 분할하고 순서를 지정하고, 받는 쪽에서는 받은 정보를 조립합니다.
에러 제어를 하고 에러 검출시 재전송을 해서 에러를 정정합니다. 이를 통해 신뢰성 있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로는 연결지향성인 TCP, 비연결지향성인 UDP가 사용됩니다.
3계층은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입니다.
네트워크 상의 주소체계를 설정하여 네트워크 안에서 구별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정보를 통하여 패킷의 목적지 경로를 설정해 줍니다.
네트워크 계층의 장비는 라우터가 있습니다.
프로토콜은 IP.X.25, IPv4(v6), IPsec, ICMP 등이 있으며 IP를 주된 프로토콜로 사용됩니다.
2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Date Link Layer)입니다.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하며, 회선에 존재하는 비트의 흐름을 제어 및 비트(Bit) 단위의 전송 오류를 검출,
정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계층입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로는 스위치, 브릿지를 사용하고, 프로토콜로는 HDLC, LAPB, PAPD, PPP 등이 있습니다.
1계층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입니다.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해주는 전송매체의 표준을 결정하며,
데이터 송수신의 속도, 전압 등을 결정하는 계층입니다.
물리 계층의 장비로는 리피터, 허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를 사용하고, 프로토콜 종류로는 RS-232, DSL, USB 등이 있습니다.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에 내재된 변수 사이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여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는 기법
프로세스 스케줄링
HRN 우선순위 계산공식 =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Engineer Information Proces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모의고사 개념정리 -2 (0) | 2022.05.02 |
---|---|
[정보처리기사 ] 실기 모의고사 개념 정리 -1 (0) | 2022.05.02 |
[정보처리기사] 2021년 기출 모음 (1) | 2022.04.23 |
DML이란?(INSERT/DELETE/UPDATE/SELECT 개념/예제) (0) | 2022.04.20 |
DCL이란? (COMMIT/ROLLBACK/GRANT/REVOKE/SAVEPOINT 개념/예제)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