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정보처리기사] 2021년 기출  모음

    [정보처리기사] 2021년 기출 모음

    2021 3회차(10월 시행) ARP 더보기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RARP 더보기 MAC주소를 IP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ARP 스푸핑 더보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ARP프로토콜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기법으로, 자신의 물리적 주소(MAC)를 변조하여 다른 PC에게 도달해야 하는 데이터 패킷을 가로채거나 방해한다. GRANT 더보기 권한을 부여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어 AAA서버 더보기 Authentication : 접근 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검증하는 기능 Authorization : 신원이 검증된 사용자에게 특정된 권한과 서비스를 허용하는 기능 Accounting : 사용자가 어떤 종류의 서비스를 이용했고, 얼마만큼의 자원을 사용했는지 기록 및 보관하는 기능 디자인 패턴 더보기..

    DML이란?(INSERT/DELETE/UPDATE/SELECT 개념/예제)

    DML이란?(INSERT/DELETE/UPDATE/SELECT 개념/예제)

    DML DML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DML의 유형 SELECT-> 테이블에서 튜플을 검색 INSERT->테이블에서 새로윤 튜플을 삽입 DELETE-> 테이블에서 튜플을 삭제 UPDATE-> 테이블에서 튜플의 내용을 갱신 SELECT -> SELECT문은 양이 많아서 따로 정리하여 업로드 예정. INSERT 표기형식(대괄호([])로 묶은 명령어들은 생략이 가능) INSERT INTO 테이블명([속성명1,속성명2,...) VALUES(데이터1, 데이터2...); 예제) 테이블에 (이름-산하 부서-백엔드) 삽입 SQL INSERT INTO 사원 (이름,부서) VALUES("산하","백엔드"); DELETE 표기형식(대괄호([])로 묶은 명령어들은 생략이 가..

    DCL이란? (COMMIT/ROLLBACK/GRANT/REVOKE/SAVEPOINT 개념/예제)

    DCL이란? (COMMIT/ROLLBACK/GRANT/REVOKE/SAVEPOINT 개념/예제)

    DCL DCL은 데이터의 보안, 무결성, 회복, 병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이다. DCL의 유형 COMMIT-> 명령에 의해 수행된 결과를 실제 물리적 디스크로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 조작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관리자에게 알려줌 ROLLBACK -> 데이터베이스 조작 작업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복구함 GRANT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사용 권한을 부여함 REVOKE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사용 권한을 취소함 GRANT/REVOKE 표기형식(대괄호([])로 묶은 명령어들은 생략이 가능) -GRANT 사용자등급 TO 사용자_ID_리스트 -REVOKE 사용자등급 FROM 사용자_ID_리스트; 사용자등급 DBA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RESOURCE : 데이터..

    DDL이란? (CREATE/ DROP/ALTER 개념/예제)

    DDL이란? (CREATE/ DROP/ALTER 개념/예제)

    DDL DDL은 DB 구조, 데이터 형식, 접근 방식 등 DB를 구축하거나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DDL의 3가지 유형 CREATE -> SCHEMA, DOMAIN, TABLE , VIEW , INDEX 정의 ALTER -> TABLE에 대한 정의를 변경하는 데 사용함 DROP -> SCHEMA , DOMAIN , TABLE , VIEW , INDEX를 삭제 CREATE CREATE SCHEMA -> 스키마를 정의하는 명령문이다. 표기형식 CREATE SCHEMA 스키마명 AUTHORIZATION 사용자_id ; 예제) CREATE SCHEMA 대학교 AUTHORIZATION 홍길동; -> 소유권자의 사용자 ID가 '홍길동'인 스키마 '대학교'를 정의 CREATE SCHEMA -> 도메인을 정의..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  정리 -요구 사항 분석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 정리 -요구 사항 분석

    Chapter 1 소프트워에 개발 방법론 비용산정 모형 분류 하향식 산정방법 : 경험이 많은 전문가에게 비용산정 의뢰 또는 전문가와 조정자를 통해 비용산정 -전문가 판단 -델파이 기법 :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문제 해결 및 미래예측을 위한 기법 상향식 산정방법 : 세부적인 요구사항과 기능에 따라 필요한 비용 산정 코드라인수 : 원시 코드 라인수의 낙관치, 중간치, 비관치를 측정하여 예측치를 구해 비용산정 Man Month : 한 사람이 1개월 동안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기준으로 비용산정 COCOMO 모형: 보헴이 제안한 모형으로 프로그램의 규모에 따라 비용산정 조직형(Organic Mode) : 5만라인 이하 반 분리형(Semi-Detached Mode) : 30만라인 이하 임베디드형(Embed..

    가장 많이 사용되는 Intellij 필수 단축키 정리

    가장 많이 사용되는 Intellij 필수 단축키 정리

    서론 이번 글에서는 Intellij 필수 단축기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sts만 쓰다가 최근에 intellij로 넘어왔는데 유용한 단축기가 많아서 정말 편리하다. 단축기를 4가지로 분류하였다. 코드 편집 관련 단축키 Ctrl + / : 선택한 라인 주석 처리(//로 주석처리) Ctrl + Shift + / : 선택한 영역만큼 주석 처리(/* */ 로 주석처리) Ctrl + Y : 커서가 위치한 라인 삭제 Ctrl + D : 현재 코드 복사하여 바로 밑에줄에 붙여넣기 Alt + Enter : Import 되지 않은 Class import 시키기 Ctrl + Alt + O : Import 최적화 시키기(코드 내에서 사용되지 않는 import 문장 삭제 처리) Ctrl + . : 코드 접기 Ctrl + W :..

    [JAVA] Servlet HTTP 응답 데이터(Response)  TEXT/ HTML / JSON

    [JAVA] Servlet HTTP 응답 데이터(Response) TEXT/ HTML / JSON

    서론 HTTP 응답 메시지는 텍스트, HTML , JSON 내용을 담아서 전달한다. 각각의 사용법을 알아보자. 단순 데이터 응답 @WebServlet(name = "responseTextServlet", urlPatterns = "/response-text") public class ResponseJson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Contetnt-Type : application/json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

    [Spring] Http API Json 형식 데이터 받고 출력하기

    [Spring] Http API Json 형식 데이터 받고 출력하기

    서론 HTTP API 에서 주로 사용하는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JSON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이라는 의미의 축약어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경량의 DATA 교환형식이다. 특징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교류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자바스크립트 객체 표기법과 아주 유사하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서도 쉽게 만들 수 있다. 결과 Json 형식으로 파싱할 수 있게 객체생성 // HelloData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Getter @Setter public class HelloData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int..